강호의 발바닥도 포기한 실장석 참피 폐가 소설 열리지 않는 낙원
실장 테마파크. 한때 3년전, 그 당시만 해도 실장석 이라는 것에 무지한 인류이기에 실장석 붐으로 인해 만들어진 착오의 산물이였다. 테마파크라고 하지만 크기는 6000평 크기의 테마파크 치고는 작은 크기였다. 하지만 이곳은 인간에 비해 너무 작은 실장석들을 위한 사이즈로 만들어져 있기에 실장석 입장에선 그야말로 온갖 놀이기구가 즐비한 어마어마한 넓이의 천국이였다. 외부의 들실장 침입을 막기위해 주변에는 넓이 5m에 깊이 2m의 해자가 파여있고 오로지 4m넓이의 입출구용 다리로만 들어올수 있는 천혜의 요새였다. 물론 돈을 지불하고 안에 들어온 덜떨어진 사육실장들이 해자에 빠져 죽을수 있기에 높이 1m의 저실장도 통과 하지 못할, 촘촘한 철망이 둘러쌓여 있지만 기이하게도 빠져 죽는 녀석들은 하루에도 수십마리가 존재했다. 당연히 이럴경우 보상은 없다. 사육주의 관리소홀이기에. 그렇게 실장붐을 타고 월 매출 80억을 넘기는 호황이 잠깐 있었지만 그 기간은 고작 3개월 이였다. 실장붐이 3년이 된 시점에 일본의 로젠사에서 개발한 린갈의 등장으로 사육실장 시장은 처참하다고 표현이 안될 정도로 단기간에 붕괴했다. 3년간 만들어진 시장이 붕괴하기까지 고작 3개월이 걸렸다. 길거리엔 버려진 전 사육실장들이 발에 치여 죽은 사체가 빼곡하게 인도와 차도를 뒤덮을 정도였다. 이때 살아남은 극소수의 실장석들이 오늘날 전국에 퍼진 들실장들의 선조가 되었다. 그렇기에 과거 실장붐 시절 기억을 이어받아 아직까지 사육실장이라면 사족을 못쓰는 원인이기도 했다. 이 테마파크가 세워진건 실장붐이 2년 7개월쯤 된 시점이였다. 고작 3개월 반짝였고 그대로 폐업을 하였다. 완공까지 1년 6개월. 총 500억원이 들어갔지만 고작 수익은 240억. 곧바로 파산했지만 2년이 흐른 지금도 이 부지는 매각조차 되지 않았다. 린갈이후 실장석 이미지가 이 이상 나빠진다면 진지...